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이모저모

TGL, G투어와는 다른 새로운 스크린골프 대회

   안녕하세요! 아마초이입니다. 'TGL'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아직 생소하시다고요? TGL은 Tech-infused Golf Leage의 약자로 첨단 기술이 적용된 골프 리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골프 황제라 불리는 타이거 우즈와 로리 매킬로이, 그리고 마이크 매킬리가 공동 설립한 스포츠 이벤트회사 TMRW스포츠가 미국프로골프 투어의 후원을 받아 2022년 창설된 리그입니다. 당초 2024년 1월에 첫선을 보일 예정이었지만 경기장 공사 문제로 올해 1월 8일에 첫선을 보였습니다. 국내에 G투어(스크린골프 대회)가 있다면 미국에는 TGL이 있습니다. 간략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대회 일정

회차 경기일(한국시간) 대진표
1 1월 8일 뉴욕 GC vs 더 베이 GC
2 1월 15일 LA GC vs 주피터 링크스 GC
3 1월 22일 뉴욕 GC vs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4 1월 28일 주피터 링크스 GC vs 보스턴 커먼 골프
5 2월 5일 보스턴 커먼 골프 vs LA GC
6 2월 18일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vs LA GC
7 2월 18일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vs 더 베이 GC
8 2월 18일 더 베이 GC vs 보스턴 커먼 골프
9 2월 19일 주피터 링크스 GC vs 뉴욕 GC
10 2월 19일 LA GC vs 뉴욕 GC
11 2월 19일 보스턴 커먼 골프 vs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12 2월 26일 더 베이 GC vs 주피터 링크스 GC
13 3월 4일 더 베이 GC vs LA GC
14 3월 4일 뉴욕 GC vs 보스턴 커먼 골프
15 3월 5일 주피터 링크스 GC vs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16 3월 18일 준결승
17 3월 19일 준결승
18 3월 26일 결승(챔피언전)

 

   지금까지 총 5회 차 경기가 치러졌습니다. 특이한 점은 2월 18일, 19일에는 일일 3경기씩 치러진다는 것입니다. 일정 잘 참고하셔서 시청하시기를 바랍니다. 중계는 JTBC골프와, JTBC골프&스포츠를 통해 방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팀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국적의 김주형 선수가 소속된 주피터 링크스 GC는 4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응원 가즈아!

순위 팀명 경기수 획득 포인트
1 LA GC 2 4
2 더 베이 GC 1 2
3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1 2
4 주피터 링크스 GC 2 2
5 보스턴 커먼 골프 2 1
6 뉴욕 GC 2 0

 

6개 팀 선수명단

  팀명 연고 도시 구단주 소속 선수
1 뉴욕 GC 뉴욕 스티브 코헨 젠더 쇼플리, 리키 파울러, 피트패트릭, 캐머런 영
2 더 베이 GC 샌프란시스코 마크 라스리, 커리 윈덤 클라크, 루드비그 옹베리, 이민우, 셰인 로리
3 LA GC 로스앤젤레스 오헤니어, 윌리엄스 자매 콜린 모리카와, 사히스 티갈라, 플릿우드, 저스틴 로즈
4 보스턴 커먼 골프 보스턴 펀웨이 스포츠그룹 매킬로이, 키건 브래들리, 애덤 스캇, 마쓰야마 히데키
5 애틀랜타 드라이브 GC 애틀랜타 아서 블랭크 저스틴 토마스, 캔틀레이, 빌리 호셜, 루카스 글로버
6 주피터 링크스 GC 주피터 우즈, 데이비드 블리처 타이거 우즈, 맥스 호마, 김주형, 케빈 키스너

 

   TGL은 총 6개 팀 24명의 선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단주 명단 중 눈에 띄는 이름은 NBA 농구스타 스테판 커리와 테니스 스타 윌리엄스 자매가 있네요. 타이거 우즈 또한 주피터 링크스 GC의 구단주 겸 선수로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시즌운영

   대회는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으로 나뉘고 한국시간으로 1월 8일 개막전이 치러졌습니다. 정규 시즌 15개 경기 중 현재까지 5개의 경기가 치러졌네요. 정규 시즌이 끝난 후 그 성적으로 상위 4팀을 가리고 곧바로 포스트 시즌을 시작하게 됩니다. 포스트 시즌은 3월 18일, 19일 양일간 단판으로 준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3월 26일 3전 2선승제로 치러질 예정입니다. 총상금은 2,100만 달러(약 303억 원), 우승상금은 900만 달러(약 130억 원)입니다. 과연 첫 시즌의 우승컵과 상금은 어느 팀에게 돌아가게 될까요?

 

경기환경

   TGL은 실내 스크린골프 게임에 숏게임(필드와 비슷한 환경으로 조성)을 섞어놓은 형태입니다. 경기는 미국 플로리다주 소파이센터에서 열리며 관중석은 약 1,500여 명 규모입니다. 티박스는 백 박스와 프론트 박스로 나뉘고 티샷을 포함한 130야드 이상의 거리는 백 박스에서, 130야드 미만의 거리는 프론트 박스에서 스크린을 향해 샷 합니다. 그린에서 50야드 이내의 샷은 그린 존, 즉 실제 그린을 향해 샷을 합니다. 티박스는 실제 잔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페어웨이, 러프, 모래(벙커) 구역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최대한 필드와 가깝게 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스크린은 미국 풀스윙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면은 너비 19.5m, 높이 16.1m로 영화관 스크린 크기와 비슷합니다. 일반 스크린골프장과 비교하면 무려 24배의 크기입니다. 그린은 직경 37.5m 크기의 턴테이블 위에 조성되어 있고, 그린 아래 600여 개의 장치가 움직이며 5초 만에 선수들이 실제 경기하는 홀의 지형을 재현합니다.

첨단 기술이 집약된 소파이 센터 내부. 플로리다 주립대학 캠퍼스 내에 위치해 있다.

경기방식

   기본적으로는 단체전입니다. 매 경기마다 15개 홀을 플레이하게 되는데 15개 홀은 전반과 후반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전반전은 9개 홀로 각 팀 대표선수 3명이 번갈아 가면서 샷을 하여 매치플레이 방식으로 승패 정합니다. 후반전은 6개 홀로 각 팀에서 한 명의 선수가 2홀씩 매치플레이를 합니다. 매치플레이라 각 홀에서 이기는 사람이(팀) 1점을 획득하게 됩니다. 15개 홀이 끝난 후 점수가 높은 팀이 2점을 얻고, 패배한 팀은 점수를 얻지 못합니다. 단, 연장전에서 패배하면 1점을 얻습니다.


 

   미국 메이저리그나 한국 프로야구연맹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경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입니다. 2시간이 넘어가면 관중들이 집중하기도 힘들고 지루해한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TGL 또한 한 경기가 2시간이 넘지 않으면서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8개 홀을 15개 홀로 줄인 것, 샷 클락(40초 이내 샷을 해야 하는 규정)과 심판제 등을 도입한 것도 신속한 경기진행을 통해 관중들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과연 TGL이 새로운 골프 문화를 선도할 수 있을지, 젊은 층의 관심을 어느 정도까지 끌어들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골프존,
일합시다!